[OS] #23 Thread 스케줄링, 다중 프로세서 스케줄링
1. Thread 스케줄링
1.1 쓰레드
- 쓰레드는 유저 레벨과 커널 레벨로 구분한다.
- 시스템에서 쓰레드를 지원할 경우, 프로세스가 아닌 쓰레드를 스케줄링한다.
- 쓰레드에 자세히 알고 싶다면?
1.2 쓰레드 스케줄링 경쟁 범위
PCS와 SCS는 프로세스가 경쟁하는 범위의 차이로 구분한다.
- PCS (Process-Contention Scope)
- 프로세스 내에서 쓰레드끼리 경쟁한다.
- SCS (System-Contention Scope)
- 전체 시스템 내에서 쓰레드끼리 경쟁한다.
- 전체 시스템 내에서 쓰레드끼리 경쟁한다.
2. 다중 프로세서 스케줄링
2.1 다중 프로세서 스케줄링의 종류
비대칭 다중처리
대칭 다중처리 (SMP)
- 모든 프로세스가 하나의 Ready Queue에 들어가 있는 방식과,
- 프로세스가 각 코어의 독립된 큐에 들어가 있는 방식이 존재한다.
- 단일 / 다중 처리기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?
2.2 SMP Queue 구조
모든 프로세스가 하나의 Ready Queue에 들어가 있는 방식
하나의 Queue에서 여러 개의 core 중 뭐를 가지고 와서 서빙을 할지 경쟁하고 있는 상황
Per - Queue : 프로세스가 각 코어의 독립된 큐에 들어가 있는 방식
Per-Core Queue 특징
- ① Affinity(친화성)
- 특정 Core에서만 Task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. (이 task는 core랑 친하다!)
- Load Balancing을 하지 않는다. (메모리 멈춤 현상 방지책)
- Affinity 기능을 통해, Cache Hit 확률을 높일 수 있다.
- 따라서, Affinity 적용시 메모리 멈춤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.
- ② Load Balancing (부하 균등)
- Core 당 할당된 Task 개수가 같게끔 맞추는 것을 말한다. (균형을 맞춘다.)
- 특정한 CPU만이 많이 일하거나, 특정한 CPU가 놀지 않는 경우가 없도록 한다.
- 부하 균등의 문제점
- 부하 균등을 하고자 Task를 다른 Core로 옮기면 ⇒ Cache Miss 가 높아진다.
- Cache Miss가 발생하면, 메모리 멈춤 현상 (Memory Stalling) 이 발생한다.
- 메모리 멈춤 현상: 데이터를 가져오느라 프로세서가 idle상태에 놓이는 것
- 메모리 멈춤 현상: 데이터를 가져오느라 프로세서가 idle상태에 놓이는 것
- 부하 균등의 방식
- 푸시 이주 (Push Migration)
- 개별 프로세서에 대한 부하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.
- 특별히 많은 부하가 걸린 CPU가 있으면 다른 CPU로 부하를 분산한다.
- 😠팀장이 열받으면 일 너가해!! 하고 push
- 풀 이주 (Pull Migration)
- 놀고 있는(Idle 상태의) CPU들이 바쁜 프로세서들의 Task를 가지고 온다.
- 🥹팀장이 일 다 하고있어. 그럼 일 가져오는거
- 푸시 이주 (Push Migration)
3. 멀티코어 프로세서
하나의 쓰레드가 메모리 탐색을 위해 Stall (메모리 멈춤) 되었을 때, 다른 쓰레드가 일하게 만들어서 효율을 더 올릴 수 있다
-
단일 쓰레드일 때
-
다중 쓰레드일 때
- stall 될 때마다, 다른 쓰레드의 연산을 수행한다.
- stall 될 때마다, 다른 쓰레드의 연산을 수행한다.
4. Real-Time CPU Scheduling
4.1 실시간 CPU 스케줄링이란?
Real-Time CPU Scheduling (실시간 CPU 스케줄링)
Deadline안에 task를 완수해야하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케줄링 방식이다.
4.2 실시간 시스템의 종류
연성 실시간 시스템 (Soft real-time systems)
- 비교적 엄격하지 않은 조건
- 경우에 따라, Task 처리 데드라인에 못 맞출 수도 있다.
- 📞조금 처리가 부족해서 안녕하세요! 라고 출력되야 하는 것이 안냐세여 라고 출력
- e.g., 이동 통신 시스템 (LTE)
강성 실시간 시스템 (Hard real-time systems)
- 매우 엄격한 조건
- 무조건 Task 처리 데드라인에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.
- e.g., 미사일 시스템, 자율주행 자동차
4.3 실시간 시스템의 주요 개념
Interrupt Latency
인터럽트 발생부터 ISR 실행까지의 시간을 말한다.
Dispatch Latency
- 디스패처가 수행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.
- conflicts 와 dispatch 시간의 합을 말한다.
5. Rate Montonic 스케줄링
선점형 정적 우선순위 스케줄링을 이용하는 스케줄링 방법이다.
- 주기가 짧은 Task = 높은 우선순위
- 주기가 긴 Task = 낮은 우선순위
- 1년에 연봉을 1번만 받는 상황과, 한달의 한 번씩 월급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면 전자가 낮은 우선순위
- 가끔 해줘야 하는 애들은 우선순위가 낮다는 것임
6. EDF 스케줄링
Earliest Deadline First Scheduling (EDF)
- Deadline이 바로 앞에있는 아이부터 스케줄링 해주는 기법이다.
- 실시간 스케줄링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.
- Deadline이 많이 남아 있으면 우선 순위를 낮춰서 처리해줘도 된다.
7. Proportional Share 스케줄링
Proportional Share Scheduling (비례 배분 스케줄링)이란, 전체 CPU실행시간을 Time share라는 단위로 쪼갠 뒤, 각 프로세스에게 일정 퍼센트만큼 할당해주는 방법이다.
-
전체 Time share을 T라고 했을 때, 각 프로세스는 N만큼의 시간을 할당받는다. (N < T)
-
e.g 1.,
- 기지국은 50명의 사람들을 한 번씩 서비스 해줘서 넷플릭스를 볼 수 있게 해야한다.
- 이때, 신호가 제일 좋은 사람들 위주로 서비스를 하는데, 그럼 신호가 안좋은 사람들은 서비스를 못 받으니까 신호가 좋은 사람들의 우선순위는 점점 낮아지고, 신호가 좋지 않아 서비스를 받지 못한 사람들의 우선순위를 올려 서비스를 받게 한다. (에이징 기법!!!!🌟)
-
e.g 2.,
- A프로세스와 B프로세스를 3:2의 비율로 Time share를 할당해준다고 하자.
- 만약 B프로세스가 한타임 실행되면, 3:1이 되고, A프로세스가 한타임 실행되면 2:1이 되는 식이다.
8.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평가
8.1 분석적 평가
어떤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써야할까? 평가해보자!
- 분석적 평가(결정론적 모델링)
- 미리 결정되어 있는 매개변수(input)를 통해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.
- 결과를 정확히 알 수 있다.
- 하지만, 실시간 스케줄링의 경우, 모든 input을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평가에 어려움이 있다.
- 아래와 같은 정보들(Burst Time, …)
- 시뮬레이션
- 분석적 평가를 하기 힘든, 실시간 스케줄링을 평가하는 방법이다.
8.2 분석적 평가 예시
-
모든 input을 알 때, 각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대해 최소 평균 대기 시간을 구하자. (도착시간은 모두 0으로 같다.)
Process Burst Time P1 10 P2 29 P3 3 P4 7 P5 12
- FCRS
- 최소 평균 대기 시간: (0+10+39+42+49) / 5 = 28(ms)
- 최소 평균 대기 시간: (0+10+39+42+49) / 5 = 28(ms)
- 비선점형 SJF (Shortest Job First)
- 최소 평균 대기 시간: (0+3+10+20+32) / 5 = 13(ms)
- 최소 평균 대기 시간: (0+3+10+20+32) / 5 = 13(ms)
- RR (Round Robin)
- q = 10 일때
- 최소 평균 대기 시간: (0+(10+20+2)+20+23+(30+10)) / 5 = 23(ms)
=> 즉, 평균 대기 시간이 가장 작은 스케줄링 기법은 “비선점형 SJF”이다!
9. Little’s law
Little’s law (리틀의 법칙)
- L = λW
- L: 큐(queue) 안의 평균 사람 수
- λ: 평균 도착 속도 (얼마나 자주 사람들이 오는가?)
- W: 평균 대기 시간
e.g 1., 4시간 동안 300명의 손님이 다녀간 식당이 있다. 평균적으로 식사 시간은 10분이다. 식당 안의 손님들의 “평균” 숫자는 얼마일까?
- λ = 300명/4시간 = 75명/시간
- W = 1/6시간
- L= 75/6 = 12.5명
- 즉, 이에 맞는 규모로 테이블 갯수 등 식당 설비를 갖출 수 있다.
e.g 2., 한 식당에서는 고객이 평균 14명이 대기하고 있고, 시간당 평균 7명의 고객이 주문을 하러 들어올 때, 평균 대기 시간은?
- L = 14
- λ = 7
- W = 14/7 = 2
➡️ 즉, 평균 대기 시간은 2임을 알 수 있다.
댓글남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