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React] React Hooks - useEffect
1. useEffect 개요
1.1 useEffect 개념
① useEffect는 리액트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Hook이다.
② 어떤 컴포넌트가 화면에 첫 렌더링이 됐을 때(mount), 다시 렌더링 될 때(Update), 화면에서 사라졌을 때(unmount) 특정 작업을 처리하고 싶다면 useEffect를 사용한다.
③ import React, { useEffect } from "react";
로 import 해서 사용한다.
④ ⭐ useEffect는 컴포넌트의 렌더링(혹은 리렌더링)이 모두 끝난 후에 실행된다.
1.2 useEffect 원리
useEffect 훅은 기본적으로 콜백함수를 받는다.
콜백함수 내부에 원하는 작업을 작성해주면 된다.
useEffect(() => {실행하고 싶은 함수});
브라우저에서 컴포넌트가 화면에 렌더링될 때 useEffect 안에 있는 console.log가 실행된다.
import { useEffect } from "react";
const App = () => {
useEffect(() => {
// 이 부분이 실행된다.
console.log("hello useEffect");
});
return <div>Home</div>;
};
export default App;
1.3 useEffect와 리렌더링
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에 특정 작업을 수행한다는 특징 때문에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.
아래 코드를 콘솔에서 확인해보면 브라우저에 input에 어떤 값을 입력했을 때 useEffect가 계속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import { useEffect, useState } from "react";
const App = () => {
const [value, setValue] = useState("");
useEffect(() => {
console.log("안녕!");
});
return (
<div>
<input
type="text"
value={value}
onChange={(e) => {
setValue(e.target.value);
}}
/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왜 input에 값을 입력한 것 뿐인데, useEffect가 계속 실행되는 것일까?
- input에 값을 입력한다.
- value, 즉 state가 변경된다.
- state가 변경되었기 때문에, App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된다.
- 리렌더링이 되었기 때문에 useEffect가 다시 실행된다.
- 1번 → 4번 과정이 계속 순환환다.
따라서 input을 입력할 때마다 렌더링이 다시 되고 있어 계속 콘솔이 찍히고 있는 것이다.
맨 처음에 로딩이 됐을 때만 useEffect를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아래에서 알아보자!
2. 의존성 배열
의존성 배열(dependency array)이란?
의존성 배열을 통해 함수의 실행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.
즉,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와 의존성 배열의 값이 변경될 때 useEffect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.
// useEffect의 두번째 인자가 의존성 배열이 들어가는 곳
useEffect(() => {
// 실행하고 싶은 함수
}, [의존성배열]);
의존성 배열에 빈 배열 [ ] 을 넣은 경우
useEffect 에서 함수를 1번만 실행시키고자 할때는 의존성 배열을 빈 배열로 두면 된다.
⭐ 의존성배열이 비어있는 경우 최초 렌더링 할 때만 실행되기 때문이다.(DB 통신시 유용)
import useEffect, useState } from "react";
const App = () => {
const [value, setValue] = useState("");
useEffect(() => {
console.log("hello useEffect");
}, []); // 비어있는 의존성 배열
return (
<div>
<input
type="text"
value={value}
onChange={(event) => {
setValue(event.target.value);
}}
/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input에 어떤 값을 입력하더라도, 처음에 실행된 hello useEffect외에는 더 이상 실행이 되지 않는다.
의존성 배열에 값이 있는 경우
value는 state이고 우리가 input을 입력할 때마다 그 값이 변하게 되니 useEffect도 계속 실행된다.
import { useEffect, useState } from "react";
const App = () => {
const [value, setValue] = useState("");
useEffect(() => {
console.log("hello useEffect");
}, [value]); // value를 넣음
return (
<div>
<input
type="text"
value={value}
onChange={(event) => {
setValue(event.target.value);
}}
/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3. clean up
3.1 clean up 개념
컴포넌트가 사라졌을 때 무언가를 실행하는 과정을 클린 업(clean up) 이라고 한다.
useEffect가 실행될 때 반환된 함수로, 주로 특정 작업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자원을 정리하거나 해제하는 용도로 사용한다.
3.2 clean up 사용 방법
useEffect 안에서 return 을 해주고 이 부분에 실행되길 원하는 함수를 넣으면 된다. (그냥 console.log와 같다.)
import { useEffect } from "react";
const App = () => {
useEffect(() => {
// 화면에 컴포넌트가 나타났을(mount) 때 실행하고자 하는 함수 넣기
return () => {
// 화면에서 컴포넌트가 사라졌을(unmount) 때 실행하고자 하는 함수 넣기
};
}, []);
return <div>hello react!</div>;
};
export default App;
3.3 clean up 사용하기
타이머를 설정하고 해당 컴포넌트가 언마운트될 때 타이머를 제거하는 상황을 생각해보자
// src/App.js
import { useEffect, useState } from "react";
import Timer from "./components/Timer";
const App = () => {
const [showTimer, setShowTimer] = useState(false);
return (
<div>
{showTimer && <Timer />}
<button onClick={() => setShowTimer(!showTimer)}>Toggle Timer</button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// components/Timer.jsx
import { useEffect } from "react";
const Timer = (props) => {
useEffect(() => {
const timer = setInterval(() => {
console.log("타이머 실행중..");
}, 1000);
}, []);
return <div>타이머 시작!</div>;
};
export default Timer;
토글 버튼이 해제됐는데도 타이머가 실행중인 것을 볼 수 있다.
타이머가 컴포넌트가 언마운트 될 때 타이머가 멈추도록 코드를 변경해보자.
useEffect의 return값으로 정리 작업을 할 함수를 주면 된다.
// components/Timer.jsx
import React, { useEffect } from "react";
const Timer = (props) => {
useEffect(() => {
const timer = setInterval(() => {
console.log("타이머 실행중..");
}, 1000);
// 아래 코드 추가
return () => {
clearInterval(timer);
console.log("타이머가 종료되었습니다.");
};
}, []);
return <div>타이머 시작!</div>;
};
export default Timer;
댓글남기기